본문 바로가기
독서기록

랠프 엘리슨의 보이지 않는 인간, 배틀로얄 / Ralph Ellison - Battle Royal 분석

by 나의달님 2021. 5. 12.
반응형

오늘은 랠프 엘리슨의 유명한 소설 <보이지 않는 인간>(Invisible Man)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장 <배틀로얄>(Battle Royal)을 맑시즘으로 바라봅니다. 깊게 들어간 것은 절대 아니고, 철저히 텍스트만 보면서 써봤습니다. 

 

소중한 창작물을 함부로 도용하지 말아 주세요 **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역사관에 따르면, 인간의 생존에 있어 물질적 생산은 필수적인 것으로서 물질적 생산 활동이 경제적 토대, 즉 하부구조가 되어 종교, 사상, 법, 정치 등의 상부구조를 결정한다. 경제적 토대에서 비롯된 상이한 경제적 이해관계는 계급의식 형성을 촉진시킨다. 마르크스는 인류의 역사를 계급투쟁의 역사로 보았는데,「배틀 로얄」에서는 피부색이 계급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적으로 말해 백인은 자본가 계급에, 흑인은 노동자 계급에 속한다. 백인 자본가 계급은 자본을 쥐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본을 토대로 정치, 문화, 경제, 법률, 언어 등을 모두 아우르는 영역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지배 계급은 자연스레 자본을 쥔 계급이 자신들을 지배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믿게 되고, 감히 기존 질서에 반항하기보다는 자신을 동화시키거나, 체제에 공모하는 편으로 마음이 동하기가 쉽다. 작중에서 자본이 결여되어 그것을 갈구하게 되는 상황은 흑인 소년들이 현실에 눈멀게 하는 또 하나의 안대로 기능한다.

주지하다시피, 백인들이 흑인 소년들을 위해 짜놓은 판 기저에는 자본주의 이데올로기가 활발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데올로기가 효과적으로 모순을 은폐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으로, 자본주의가 생활 전반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종적 차이를 기반으로 한 계급 사회가 가진 모순은 너무도 쉽게 은폐된다. 흑인들은 ‘경쟁’(competition)에서 승리하고자 하는 욕망에 그룹으로 뭉치지 못하고 개인으로 뿔뿔이 흩어진다. 그리고 흑인에게 주어지지 않은 자본은 그들이 자신의 신체를 위험에 처하게 해서라도 백인에게 순종적인 태도로 일관하게 만든다. 소년 화자 또한 가난에서 벗어나 중산층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욕망이 무엇보다 앞서는 나머지 자신과 같이 박해당하는 또래 소년들과 소통 혹은 협력하기보다는 오로지 백인들의 눈에 들기 위해서만 전전한다. 따라서 흑인들끼리 연대를 이루고 인종주의의 본성 혹은 그것이 가진 모순을 인식하기에는 많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백인이 벌인 판 위에서 흑인 소년들은 ‘돈’을 위한 각축전을 벌인다. 배틀 로얄은 십 대 소년들이 싸우는 링 안에서 벌어지는 단순 백인용 오락거리가 아니다. 그 게임은 앞으로 링 밖에서, 건물 밖에서 흑인과 백인 간에 벌어질 ‘인종 간 전쟁’의 한 단면으로, 소년들이 맞서 싸워야 할 실제 전쟁은 바로 링밖에 실존한다. 본격적인 전쟁에 앞서 백인들은 자신들이 가진 사회적 자본, 권력, 인지도 등을 이용해 자신들의 적을 교란시키는 작전을 실행한다. 즉 작품 속에서 펼쳐지는 상황은 백인이 부러 흑인 간에 싸움을 붙여놓고 자신들은 뒤로 물러서 그것을 신명 나게 구경을 하고 있는 꼴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화자와 아홉 명의 또래 소년들은 백인의 힘이 본격적으로 작용하는 배틀 로얄이 시작되기 전부터 서로를 못마땅하게 받아들이며 뚜렷한 거리를 유지한다. 화자가 그들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밝힌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그들은 소위 말해 거친 소년들로서, 그들에겐 자신처럼 마음을 어지럽게 할 할아버지의 유언 같은 존재가 없다. 둘째, 그가 배틀 로얄에 참가하여 싸우는 것이 후에 있을 자신의 연설의 존엄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는 염려에서다. 좁은 ‘하인용’ 엘리베이터에 열 명이 구겨져 타면서 그는 자신이 다른 아홉 명보다 더 우월하다고 자위한다(39). 그는 같은 흑인 집단 내에서도 자신을 철저히 분리시키는데, 이는 후에 자신이 아메리칸 드림을 이룸으로써 백인 집단에 완전히 속하게 되면 더 완벽하게, 적극적으로 실천할 백인의 시각에서 흑인 내려다보기 예행연습을 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기실 그는 이미 제 스스로가 흑인보다는 백인 집단에 더 가깝다고 여긴다. 하지만 화자는 결국 피부색으로 따졌을 때 흑백 그 어디에도 속할 수 없는 “연한 적갈색”(ginger-colored 43) 피부의 소년이다. 또한, 백인들이 화자의 연설을 듣기 전에 부러 그를 배틀 로얄에 참가시키는 이유는 자신들과 화자 사이에 존재하는 침범 불가능한 선을 분명히 긋기 위함이다.

소년들과 화자는 실제로 비좁은 엘리베이터 안에서 말다툼을 벌이는데 이는 화자가 계획에 없던 배틀 로얄에 참여함으로써 자신들의 친구 한 명을 대체했고, 그 때문에 친구의 돈벌이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즉 아홉 명의 소년들에게 배틀 로얄에서 서커스 광대처럼 백인들에게 구경거리를 제공하는 행위는 순전히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다. 그들은 이 일을 하고 싶어한다! 그들은 돈을 벌기 위해 기꺼이 ‘인간 상품’이 되고, 그들의 패가 조금이라도 돈을 덜 받게 된 것에 어김없는 분노를 표현한다(39-40). 그리고 배틀 로얄이 끝나자마자 소년들이 하는 일은 상한 몸과 마음을 돌보는 일이 아니라 그들 중에 대장급인 태틀록(Tatlock)의 승리를 축하하면서도 백인들이 그들에게 얼마나 많은 돈을 줄지 어림짐작하는 일이다(47). 반면 화자가 배틀 로얄에 참가하게 된 것은 순전히 그의 의지에 반하는 결정이었다. 그는 돈보다는 백인들의 ‘인정’을 갈구하며 이 자리에 왔다. 그는 백인들만이 자신의 능력의 진가를 알아볼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46). 태틀록과 단둘이 링 안에 남았을 때 존엄을 지키고 싶은 그는 자신이 이기는 것처럼 상황을 연출해주면 처음에 자신이 받을 상금을 그에게 주겠다고 제안한다. 태틀록이 거절하자 화자는 상금에 5달러를 얹혀주겠다는 솔깃하면서도 거만한 제안을 한다. 태틀록이 꿈쩍도 하지 않자 그는 액수를 7달러까지 높인다(46). 사실 태틀록이 실제로 백인들에게 받을 돈의 액수를 생각하면 화자의 제안은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지만, 태틀록은 극렬한 혐오감을 표명하며 자기 자신을 위해서라도 화자를 박살 내겠다고 단언한다. 태틀록과 화자의 대치 장면은 백인이 흑인들의 눈에 안대처럼 감아버린 ‘흰 천’이 제거된 상황에서 벌어진다. 즉 흑인 소년들은 (엘레베이터에서도 그랬듯) 백인의 ‘흰 손’이 그들의 눈을 덮고 있지 않을 때조차 서로를 보며 이를 갈고, 상처를 입히는 행위를 주저하지 않는 것이다.

 

 

흑인들의 협력구조가 와해되는 상황의 창출은 결국 ‘누가 자본을 쥐고 있는가’라는 문제로 귀착된다. 태틀록이 보기에 화자가 얼만큼의 돈을 지급한다고 약속하든, 그는 자신에게 무언가를 베풀고, 자신을 조종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 아니다. 결국, 소년들이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주체는 백인이며, 백인이어야만 하고, 화자가 자신의 연설을 인정받음에서 더 나아가 더 양질의 교육을 받거나 사회 중산층으로 진입할 수 있는가의 결정권을 쥐고 있는 것 또한 백인이다. 이것은 너무도 자명한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흑인 소년 중 그 누구도 이러한 상황 자체에 어떤 의문을 품지 않는다. 궁극적으로, 이 최상급 호텔의 연회장을 채우고 있는 백인들 자체가 사회를 이끌어나가는 지도자 계층의 사람들인 것이다. 개중에는 은행 간부, 변호사, 판사, 의사, 교사부터 심지어 벌어지는 상황을 호되게 꾸짖어야 할 것만 같은 ‘목사’까지 있다(40).

「배틀 로얄」에서 흑인 소년들은 돈 앞에서 너무도 쉽게 고통과 분노를 잊는다. 권투 시합 때문에 피와 땀으로 얼룩진 화자는 돈으로 가득 찬 깔개 앞에서 “나는 고통은 잊은 채 흥분감으로 몸을 떨었다”(48)라고 말하는가 하면, 백인 유지들로부터 ‘최상급’ 송아지 가죽 서류 가방을 건네받은 후 “나는 너무도 감동한 나머지 감사함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53)고 기술하기까지 한다. 이처럼 백인 지도자 계층이 장악하고 있는 자본의 힘,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는 화자 및 다른 흑인 소년들이 현실에 눈을 뜨지 못하게 하는 강력한 힘으로 작용한다. 그들은 돈으로 신체적, 정신적 상처를 세탁한다. 다시 말하지만, 궁핍한 그들의 경제적 상황은 그들이 인간성을 포기하고서라도 돈을 갈구해야만 하는 처지로 내몰고, 화자의 사회적 성공 욕망을 실현시킬 수 있는 수단 또한 백인들의 손으로부터 나온다. 그러나 백인들은 결단코 필요 이상으로 물질적, 사회적 보상을 주지 않는다. 조금이라도 더 많은 돈을 받고 싶으면 다른 흑인들보다 뛰어나 링 안에 더 오랫동안 남을 수 있는 한 명이 되어야 하는 것처럼, 백인이 흑인에게 선심 쓰듯 허용하는 '한정된' 자원은 흑인들 간의 협력구조를 철저히 붕괴시켜 내적 분열을 만들고 그렇게 함으로써 백인과 흑인 간의 권력적 상하관계 및 인종주의를 효과적으로 영속화하게 되는 것이다.

Ellison, Ralph. “Battle Royal." Invisible Man with Essays in Criticism. 서울: 신아사, 1994. 37-54. Prin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