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07 국내 배당주 투자: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뜻 오늘은 배당주 투자 관련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항목이 너무 많으면 눈에 들어오지 않을 것 같아 일단 총 네 가지 기본 용어의 내용을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포스팅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배당기준일 / 배당락일 / 배당성향 / 배당수익률, 무슨 뜻인가? 1. 배당기준일(Record Date)과 배당락일(Ex-Dividend Date) 배당기준일은 정말 말 그대로 배당금 지급 대상 결정에 기준이 되는 날입니다. 배당금은 특정일에 회사의 주주 명부에 등록된 주주에게만 지급되는데 그날이 바로 배당기준일입니다. 매일매일, 아니 매 순간 주주가 바뀌기 때문에 파악에 용이하도록 딱! 이날에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금을 주겠다-결정을 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만일 12월 30일이 배당기준일이라면 그날 해당 회.. 2021. 5. 15. 랠프 엘리슨의 보이지 않는 인간, 배틀로얄 / Ralph Ellison - Battle Royal 분석 오늘은 랠프 엘리슨의 유명한 소설 (Invisible Man)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장 (Battle Royal)을 맑시즘으로 바라봅니다. 깊게 들어간 것은 절대 아니고, 철저히 텍스트만 보면서 써봤습니다. 소중한 창작물을 함부로 도용하지 말아 주세요 **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역사관에 따르면, 인간의 생존에 있어 물질적 생산은 필수적인 것으로서 물질적 생산 활동이 경제적 토대, 즉 하부구조가 되어 종교, 사상, 법, 정치 등의 상부구조를 결정한다. 경제적 토대에서 비롯된 상이한 경제적 이해관계는 계급의식 형성을 촉진시킨다. 마르크스는 인류의 역사를 계급투쟁의 역사로 보았는데,「배틀 로얄」에서는 피부색이 계급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적으로 말해 백인은 자본가 계급에, 흑인은 노동자 계급에 속.. 2021. 5. 12. 이창래의 가족 / Changrae Lee - Aloft 1~6장 여성 인물 분석 이창래의 1~6장 분석: 오늘 포스팅은 작중 여성 인물에 관한 것입니다. 지난 포스팅 확인 ::: 첫 번째 분석 글 [클릭] 두 번째 분석 글 [클릭] 작중 여성 인물 분석 타인종 간의 결합 양상은 과연 제리 배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박수정은 이창래의 전작들에서 아시아계 남성과 그들의 “동화”를 보다 성공적으로 담보해줄 수 있는 백인 여성과의 결합이 주를 이뤘다면, 본 작품에서는 “오리엔탈리스트 백인 남성과 수동적 동양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여성들의 결합”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요컨대 제리 배틀과 깊은 연관을 맺는 한국인 아내 데이지와 남미계 애인 리타는 성적 타자로서 백인 남성의 이국적인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봉사”한다는 말이다(88). *** 이창래가 앞서 출.. 2021. 5. 9. 5월 종소세 신고기간 및 주식 배당금 세금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달님입니다. 벌써 5월입니다. 홈택스에서 2020년 귀속에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꼭 해야 하는 달이지요. 1. 종소세 신고 기간 및 신고 대행 서비스 안내 저는 지금까지 항상 제가 직접 종소세를 신고했었는데, 올해 처음으로 네이버 엑스퍼트 플랫폼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세무사에 종소세 신고 대리 서비스를 결제했습니다. 엑스퍼트는 간단히 말해 지식in의 단점을 보완한 서비스로 볼 수 있는데요,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정말 많습니다. 요즘 네이버에서 엑스퍼트를 적극적으로 밀어주고 있고 할인 쿠폰을 많이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잘만 알아보면 저렴한 수수료에 종합소득세 신고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앞으로도 엑스퍼트 플랫폼을 이용해 종소세 신고를 하려고 합니다.. 2021. 5. 5. 이창래의 가족 / Changrae Lee - Aloft 인물 및 인종 문제 분석 이 글은 시리즈물의 두 번째 글입니다. 첫 번째 포스팅은 여기서 확인해주세요: 가족에 관한 소설: 이창래 Changrae Lee의 Aloft (작품개괄 및 분석 1~6장) (tistory.com) 아직 정돈되지 않은 글이지만 그래도 최대한 다양한 시선에서 작품에 접근하려고 노력했습니다. 1장에서 6장까지만 다룹니다! 소중한 창작물을 함부로 도용하지 말아 주세요 ** 3. 비상(飛上)하다: 추락에 대한 두려움 이 소설은 업다이크(John Updike), 치버(John Cheever)의 전통을 이어 근교 주택가에 사는 전형적인 백인 중산층 남성의 “심리적 위기”를 그린 소설로 볼 수도 있다. 즉 제리가 거주하는 롱 아일랜드(Long Island)가 단순한 장소의 의미를 넘어서 제리의 심리 상태를 반영할 수도.. 2021. 5. 5. 가족에 관한 소설: 이창래 Changrae Lee의 Aloft (작품개괄 및 분석 1~6장) 유명한 작가, 이창래의 Aloft란 작품을 다루는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한국 출판사 RHK에서는 본 작품을『가족』으로 번역하여 출간한 바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1. 어떤 작품일까? 이 작품은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서, 일찍이 가업인 조경 사업에서 은퇴 후 여행사에서 취미 삼아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경비행기 도니(Donnie)를 홀로 몰며 소일하는 이제 막 60대에 접어드려는 제리 배틀(Jerry Battle)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그가 경비행기 도니를 몰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공에서 아래를 바라볼 때는 그의 인생을 포함한 모든 것이 실로 완벽해 보인다. 하지만 물론, 기실은 그렇지 않다. 완벽해 보였던 것은 제리가 평생 주변 사람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기보다는 항시 어느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며, 방.. 2021. 5. 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8 다음 반응형